Oracle에서 사용되는 인덱스의 종류 B-TREE(Balanced Tree, 균형트리) BITMAP 함수기반(Function-Based) 어플리케이션 도메인(Application domain) Index-Organized 자동으로 생성되는 인덱스 - 테이블 생성 시에 제약조건(Primary Key or Unique)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인덱스가 생성된다. * INDEX_TYPE : NORMAL로 생성된다. * NORMAL 인 INDEX_TYPE은 오라클에서 B-Tree 구조를 의미한다.(Oracle 기본은 B-Tree) - 이때, 자동으로 생성된 인덱스는 DROP INDEX 구문으로 삭제할 수 없다.(인덱스를 삭제하고 싶다면 제약조건을 제거해야한다.) 오라클의 기본 인덱스 오라클의 기본 인덱스 구조는 ..

1. Command+space 2. 터미널 앱 검색 3. 아래 문장 복붙(혹은 https://brew.sh/index_ko 웹페이지의 설치하기 문장 복사(command+c)+붙여넣기(command+v))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4. "Press RETURN to continue or any other key to abort" 뜨면 엔터(return)버튼 클릭 5. password 라고 뜨면 맥북의 비밀번호 입력해주고 엔터(return) Homebrew 설치 완료된 이미지입니다.
ALL - 서브쿼리의 여러개의 결과를 모두 만족해야한다. SELECT * FROM userTBL WHERE height > ALL (SELECT height FROM userTBL WHERE addr = '경남'); ANY(SOME) - 서브쿼리의 여러개의 결과 중 한가지만 만족해도 된다. - " = ANY "는 "IN"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SELECT * FROM userTBL WHERE height > ANY (SELECT height FROM userTBL WHERE addr = '경남'); SELECT * FROM userTBL WHERE height = ANY (SELECT height FROM userTBL WHERE addr = '경남'); SELECT * FROM userTBL WHE..
grep 명령어는 특정 파일(특히 로그를 저장하는 파일)에서 원하는 단어 혹은 정규표현식에 해당하는 줄을 찾아보고 싶을 때 사용한다. 일종의 검색기능과 유사하다. 위키에는 grep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grep 명령어는 파일이나 표준 입력을 검색하여 주어진 정규 표현식과 맞는 줄을 찾아 프로그램의 표준 출력으로 출력한다. grep 명령어 사용법 grep [옵션] [패턴] [파일명] # 특정 파일에서 문자열 찾기 grep '문자열' 파일명 # 여러개의 파일에서 문자열 찾기 grep '문자열' 파일명1 파일명2 # 현재 디렉토리내에 있는 모든 파일에서 문자열 찾기 grep '문자열' * # 특정 확장자를 가진 모든 파일에서 문자열 찾기 grep '문자열' *.txt # 특정 파일에서 문자열이 포함..
인간실격은 꽤나 우울한 감정을 가지고 있는 책이었다. 이 책은 작가가 자신의 이야기에 허구를 섞은 소설이다. 작가는 다자이 오사무 총 5번째 자살시도를 하였고 마지막 자살 시도에 성공(?)했다고 한다. 인간실격에서 화자도 여러번의 자살시도를 하였다. 그 중에 충격적인 사건은 동반자살을 하였고 함께 시도한 여자분은 자살하였고 같이 시도한 화자는 살았는데 이 사건이 나는 허구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는 실제 작가가 겪은 사건이었고 이 모든 것이 충격적이었다. 글을 읽는 내내 내면의 우울감을 마주했고 이 책이 유명한 이유가 궁금해졌다. 이 시대에 일본은 불안하고 우울하였고 그러한 시대상과 맞아떨어져서 유명해졌다는 설이 있다. 이 책을 다 읽고는 나중에 다시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내가 알아차리지 못한 ..
이번에 배치 작업을 테스트서버에 배포하면서 발생한 이슈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한다. putty로 잘 작동하던 배치가 배치 프로그램(Batch Program, jFlow라는 배치작업자동화 솔루션을 사용)을 사용하여 수행하니까 적절히 수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원인을 분석해본 결과 리눅스 프로그램이 LF만 인식을 하고 CR을 인식하지 못하여 발생한 문제라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CR, LF 란? CR : Carriage Return (\r) LF : Line Feed(\n) 타자기를 사용하던 시기에 줄바꿈을 위해 사용하던 방식이다. CR : 커서를 맨 왼쪽으로 당겨주는 동작이다. LF : 종이를 한 줄 올려 줄을 바꿔주는 동작이다.(타자기의 경우에는 커서는 그대로 있고 줄만 바뀐다.) 윈도우 : CRLF..